본문 바로가기

최면이야기

<구미/대구/경북>최면의 거장 에릭슨의 생애와 업적

에릭슨 최면이란 밀턴 에릭슨의 비전통적, 간접적최면을 일컫는 말입니다.

에릭슨은 기존의 전통적인 최면과는 별도로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서 간접적인 방식으로 상대를 트랜스로 유도하고 

최면적 언어를 통하여 치료적 성과를 거두는 자신의 독특한 최면법을 개발했습니다. 

비록 전통적 최면을 배우고 그것을 통하여 치료적 업적을 쌓은 그였지만 스스로 개발한 에릭슨 최면은 최면사의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게 하였습니다.

에릭슨최면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에릭슨의 생애와 업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밀턴 에릭슨의 생애와 업적
(MILTON H. ERICKSON, M.D.: 1901-1980)

에릭슨은 의료 최면 분야의 세계 최고의 전문가이다. 그는 그의 최면에 대한 저작들은 권위있는 내용으로서 주로

최면유도 기법, 최면적 경험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실험적 작업, 최면사- 피험자의 관계의 본질에 대한 탐색에

관한 것들이었다.

그는 혁신적인 치료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독특한 심리치료적 접근을 꾀하였다. 

오랜 세월동안 그는 형식적인 최면 유도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해왔다.

그는 최면치료자로서 스스로를 정신의학자요, 가족카운슬러이기도 하였다. 

그는 의학 학위와 심리학 석사학위를 동시에 취득하였다. 그래서 그는 미국정신의학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및 미국심리학회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회원이다. 또한 그는 미국정신병리학회 

(American Psychopathological Association)의 회원이기도 하도. 유럽, 라틴아메리카 및 아시아의 여러 최면 단체의 

명예회원이기도 하였다. 그는 미국임상최면학회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Hypnosis)의 초대회장이었고 

그 학회의 저널을 창간하고 10년간 편집장으로 지내기도 하였다. 1950년 부터의 그의 전문적인 삶은 아리조나 주의 

피닉스에서의 개업의로서의 생활과 미국과 외국으로의 최면에 관한 강의와 세미나를 주최하기 위한 여행으로 이루어졌다.

 

에릭슨이 끼친 여섯 분야의 영향

에릭슨이 심리학 분야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1) 전략적 심리치료

캘리포니아 Palo Alto에서 Gregory Bateson이 이끄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던 

Jay Haley는 Bateson의 소개로 에릭슨과 접촉하였다. 

Bateson은 저명한 인류학자요 생물학자, 철학자였는데 그는 같은 인류학자인 Margaret Mead여사와 뉴기니아에서 

인류학 연구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참여하면서 만나 1936년에 결혼하였다. 이 부부는 1942년부터 개최된

Macy Conferences를 설립하여Tsmseop 이때 에리릭슨이 처음으로 이 모임에 참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이미 에릭슨과 친분관계를 맺고 있었다.

Haley와 동료인 John Weakland는 여러번에 걸쳐서 에릭슨을 방문하여 만났다. 이들의 대화는 녹음되어 Haley (1959)

가 편집한 ‘Conversations with Milton H. Erickson, M.D.’에 수록되어 있다.

Haley는 부분적으로는 에릭슨과의 이런 교류에 힘입어 전략적 심리치료를 고안하였다. 전략적 치료는 주로 가족 및 

체제에 바탕한 접근이다. 자연스런 절차를 선호하는 가운데 이 치료에서는 최면 그 자체에 대해서는 그렇게 초점을

두지 않았다. 즉 이 치료는 최면적 기법을 활용하지만 형식적인 트랜스 유도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2) Mental Research Institute (MRI)

Don Jackson에 의해 Palo Alto에서 창설된 MRI는 Paul Watzlawick, John Weakland, Richard Fisch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적 접근법을 보급하였다. 특히 MRI의 단기치료 프로젝트는 에릭슨에 의해 개발되고 주창된 방법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3) 해결중심 치료

위스콘신의 밀워키에 있는 Stephen de Shazer와 그의 동료들은 소위 해결중심치료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환자의 결점보다는 그의 장점에 초점을 강조하는 치료법으로 아주 적극적인 에릭슨의 방법에 해당하였다. 

이것은 정신병리학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장점을 되살려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4) Ernest Rossi의 심리생물학적 치료

로시는 에릭슨의 충실한 전기작가이다. 그는 에릭슨과 가까이에서 연구하였으며 그에 관한 책들을 여러권 공저 또는 

편집으로 출판하였다.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Collected Papers of Milton H. Erickson이다. 에릭슨과 로시가 공저한 

최면에 관한 네 권의 책들은 주로 에릭슨이 로시에게 가르친 내용을 대표하는데 그것은 최면적 기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로시는 에릭슨의 세미나 내용을 녹음하여 여러 권의 책으로 편찬해내기도 했다. 

로시는 이 책들속에서 에릭슨이 자신의 심리치료에서 활용했던 다양한 전략적이며 언어적인 접근들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후에 로시는 자신의 정신-신체 의사소통 이론을 개발하였으며 정신신경면역학의 권위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5) NLP

Richard Bandler와 John Brinder는 그들의 책 

Patterns of the Hypnotic Techniques of Milton H. Erickson (1975)에서 에릭슨의 치료방법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언어적이며 의미론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NLP를 개발하였다.


(6) 신에릭슨학파

신에릭슨파에는 Stephen & Carol Lankton, Michael Yapko, Stephen Gilligan, Jeffrey Zeig가 포함된다. 

이들은 에릭슨의 말년 시기에 그와 함께 최면을 연구한 신세대들이다. 이들은 다른 학파에서는 강조되지 않는 

에릭슨의 최면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Gilligan (1977)은 자기 관계 (self-relations)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에릭슨 학파의 일곱 번째 가지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구미최면홈피 바로가기 - https://mindpicture.modoo.at

대구최면홈피 바로가기 - https://daegumindtherapy.modoo.at